COPD, 급성악화와 제2형 염증의 관계

COPD 급성 악화란?
급성 악화란 기도 감염, 대기오염 및 기도에 대한 기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국소적/전신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호흡곤란, 기침 그리고 객담의 증가가 14일 이내에 악화된 상태를 말합니다.1
-
경증 악화: 속효성 기관지확장제 치료만 필요한 경우
-
중등증 악화: 속효성 기관지확장제와 항생제 또는 경구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중증 악화: 응급실 방문이나 입원이 필요한 악화이며 급성 호흡부전을 동반 할 수 있음

지속적인 악화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응급 상황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3,4

COPD 급성악화와 제2형 염증의 관계
제2형 염증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10~40%에서 나타납니다.1
COPD에서 제2형 염증이 동반된 경우 호산구 수치가 높게 나타나며 악화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8,9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제2형 염증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1,9

제2형 염증의 바이오마커
2025년 GOLD Report에 따르면 호산구 증가는 제2형 염증을 동반한 COPD를 식별하는 데 유용한 바이오마커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5


FeNO는 제2형 염증을 식별할 수 있고,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입니다.24-26

※ 약사법 제68조 제6항,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78조 제1항에 따라 전문의약품의 대중광고는 엄격히 금지되는 바, 본 자료는 광고를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며, 질환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천식 및 만성 비부비동염의 진단과 치료는 전문의를 통한 의학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야 합니다.
CI, confidence interval;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FeNO,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GOLD,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IgE, Immunoglobulin E; IL, interleukin; ILC2, type 2 innate lymphoid cells; ppb, part per billion; RR, rate ratio.
-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24 COPD 진료지침.
- Wedzicha JA, et al. Lancet. 2007 Sep 1;370(9589):786-796.
- Suissa S, et al. Thorax. 2012 Nov;67(11):957-963.
- Donaldson GC, et al. Thorax. 2002 Oct;57(10):847-852.
-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25 report). Available at <https://goldcopd.org/2025-gold-report> Last accessed date Jul 2025.
- Donaldson GC, et al. Thorax. 2002 Oct;57(10):847-852.
- Halpin DMG, et al. Eur Respir J. 2020 May 21;55(5):1901921.
- Wedzicha JA, et al. Lancet. 2007 Sep 1;370(9589):786-796.
- Young J, et al. Biologics. 2025;5:5.
- Saatian B, et al. Tissue Barriers. 2013 Apr 1;1(2):e24333.
- Aghapour M, et al. Am J Respir Cell Mol Biol. 2018;58(2):157-169.
- Brightling CE, et al. Clin Exp Allergy. 2010;40(1):42-49.
- Yousuf A,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Pract.2019;7(5):1406-1416.
- Oishi K, et al. J Clin Med. 2020;9(8):2670.
- Barnes PJ. J Allergy Clin Immunol. 2016;138(1):16-27.
- Gandhi NA, et al. Expert Rev ClinImmunol. 2017;13(5):425-437.
- Yun JH,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8 Jun;141(6):2037-2047.e10.
- Oshagbemi OA, et al. COPD. 2019 Apr;16(2):152-159.
- Casanova C, et al. Eur Respir J. 2017 Nov 22;50(5):1701162.
- Singh D, et al. Eur Respir J. 2014 Dec;44(6):1697-1700.
- Bafadhel M,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1 Sep 5;184(6):662-671.
- Oshagbemi OA,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7 May 15;195(10):1402-1404.
- Gandhi NA, et al. Nat Rev Drug Discov. 2016 Jan;15(1):35-50.
- Oishi K, et al. J Clin Med. 2020 Aug 18;9(8):2670.
- Yamaji Y, et al. J Breath Res. 2020 Feb 25;14(2):026007.
- Christenson SA, et al. Lancet Respir Med. 2025 Jul 9:S2213-2600(25)0004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