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결절성 가려움 발진(양진)과 제2형 염증

결절성 양진은 제2형 염증과 연계되어 피부, 면역계, 신경계 등과 모두 상호 관련성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결절성 가려움 발진(양진) 과 제 2형 염증의 관계를 영상으로 쉽게 만나보세요!

결절성 양진에서 제2형 사이토카인(IL-4 및 IL-13)은 피부 뿐만 아니라 면역계 및 신경계에 모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1,2

  • 결절성 양진의 치료 목표는 가려움증을 완화하고 결절성 병변을 치료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11-13
  • 결절성 양진 치료제는 없으며, 현재 가능한 치료는 결절성 양진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고려한 치료법이 아닙니다.10,13

 

단순히 피부 가려움증만이 아닌 결절성 양진14,15

환자의 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결절성 양진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제2형 염증을 고려해주세요.

References

  1. Williams K, et al. J Am Acad Dermatol Clin. 2020; 83(6): 1567-1574.
  2. Izuhara K et al. Allergol Int. 2014; 63(2): 143-151.
  3. Weigelt N, et al. J Cutan Pathol. 2010;37(5):578-586.
  4. Fukushi S, et al. Br J Dermatol. 2011;165(5):990-996.
  5. Park K, et al. Eur J Dermatol. 2011;21(1):135-136.
  6. Nguyen J, et al. Arch Dermatol Res. 2020;312:81-92.
  7. Oetjen L, et al. Cell. 2017;171:217-228.
  8. Hashimoto T, et al. Acta Derm Venereol. 2021;101(1):adv00375.
  9. Howell MD,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9;124(3 Suppl 2):R7-R12.
  10. Elmariah S, et al. J Am Acad Dermatol. 2021;84(3):747-760.
  11. Qureshi AA, et al. J Am Acad Dermatol. 2019;80(3):756-764.
  12. Kowalski EH, et al. Clin Cosmet Investig Dermatol. 2019;12:163-172.
  13. Ständer HF, et al. J Am Acad Dermatol. 2020;82(2):460-468
  14. Zeidler C, et al. Dermatol Clin. 2018; 36(3): 189-197.
  15. Kwatra S, et al. N Engl J Med. 2020; 382(8): 757-758.

※ 약사법 제68조 제6항,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78조 제1항에 따라 전문의약품의 대중광고는 엄격히 금지되는 바, 본 자료는 광고를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며, 질환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아토피피부염의 진단과 치료는 전문의를 통한 의학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야 합니다.

MAT-KR-2401013-3.0-05/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