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ent: "article_read", name: `연쇄 선별검사 경험: 2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가족 가계도 분석`, author: ``, tags: `희귀질환 | Fabry disease | Fabrazyme`, publication_date: ``, interaction_type: "content" }
연쇄 선별검사 경험: 2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가족 가계도 분석
Experience with cascade screening: A comprehensive family pedigree analysis of two index patients with Fabry disease Kisa PT, et al. Am J Med Genet A. 2024;194(7):e63552.
연쇄 선별검사 경험: 2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가족 가계도 분석
Key messages
가계도 분석에서 1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를 통해 15명의 환자가 진단되었으며, 특히 진단이 오래 걸리는 여성과 소아 환자에서 조기 치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확인되었습니다.
Introduction
가계도 분석은 파브리병 관련 유전적 변이를 가진 것으로 추측되는 고위험군을 식별하여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조기 진단을 할 수 있는 비용-효율적인 방법입니다.
파브리병 환자에서 연쇄 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Methods
연구설계: 후향적, 횡단(cross-sectional), 기술적 연구를 통한 가계도 분석
대상자: 말기 신장질환을 동반한 지표(index) 환자의 가족 구성원
가계도 분석 ㆍ지표(index) 환자의 가족 중 파브리병 환자가 확인될 때마다, 해당 가족 구성원을 기준으로 최소 3세대 이상을 분석 ㆍ남성 환자의 경우 어머니, 딸, 남매를 분석에 포함 ㆍ여성 환자의 경우 부모님, 자녀, 자매를 분석에 포함
가계도 분석 항목 ㆍ연령, 성별, α-Gal A 효소 수치, 혈장 lyso-Gb3 수치, GLA 유전자 분석을 포함 ㆍ파브리병이 확인된 가족 구성원에 대해 진단 시 연령, 증상 발현 연령, 성별, 관련 증상, 진단 이전 치료 기록을 조사
GLA 유전자 분석 ㆍ지표(index) 환자에서 병원성 유전 변이가 확인된 이후, 각 가족에서 연쇄 선별검사 진행 ㆍ변이가 발견된 엑손(exon 6 또는 exon 7)만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진행
Results
지표(index) 대상자 A ㆍ환자 1 (53세 남성): 기원을 알 수 없는 신부전 진단을 받은 환자 ㆍ환자 2 (42세 여성): 복막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환자 1과 가족 관계)
가족 A ㆍ6세대에 걸쳐 총 214명이 가계도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 ㆍ선별 검사를 받은 103명 중 총 32명 (31%)이 파브리병으로 진단되었으며 [지표 (index) 환자 2명 포함], 그중 7명(22%)이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였습니다(남성 2명/여성 5명). ㆍ성인 환자 25명 중 19명(76%)이 여성이었습니다.
지표(index) 대상자 B ㆍ환자 3 (44세 남성): 만성 신부전과 좌심실 비대로 병원에 의뢰된 환자
가족 B ㆍ66명이 가계도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그중 35명이 파브리병 위험 환자였습니다. ㆍ선별 검사를 받은 28명 중 15명(54%)이 파브리병을 스크리닝을 통해 진단받았습니다. ㆍ그중 여성 환자는 13명(81%),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는 4명(25%)이었습니다.
지표(index) 대상자(A, B)의 가계도 분석 ㆍ지표(index) 대상자 A와 B의 가계도 분석에 총 280명이 포함되었고, 그중 131명에서 선별 검사가 진행되었습니다. ㆍ선별 검사 후 총 45명이 새롭게 파브리병을 진단받았습니다. (진단율: 34%) ㆍ지표(index) 대상자를 포함하여, 48명의 파브리병 환자 중 37명(77%)이 여성이었으며, 12명(25%)이 18세 미만의 소아였고, 50%는 무증상이었습니다. ㆍ지표(index) 대상자를 제외하고, 45명의 환자가 처음 파브리병을 진단받았을 때의 평균 나이는 30.9세(±17.7세)로, 지표(index) 환자보다 20년 빨리 진단될 수 있었습니다.
Conclusions
연쇄 선별검사를 통해 파브리병 위험군을 스크리닝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과 소아 환자에 있어 파브리병 조기 진단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FD, fabry disease
Kisa PT, et al. Experience with cascade screening: A comprehensive family pedigree analysis of two index patients with Fabry disease. Am J Med Genet A. 2024 Jul;194(7):e63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