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lsidase beta는 진행성 파브리병 환자의 WML 진행과 뇌졸중 위험을 안정적으로 조절해 혈관질환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Introduction
파브리병에서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증상에는 진행성 뇌 백질 병변(WML)이 포함됩니다.
파브리병 환자에서는 WML이 흔히 관찰되며, WML의 증가는 뇌졸중 발생 및 치명률 증가의 위험요인입니다.
파브리병 환자는 일반 인구 대비 뇌졸중 유병률이 12배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해당 연구는 진행성 파브리병 환자에서 Agalsidase beta가 WML 부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Methods
연구설계: Post hoc analysis, Longitudinal study
대상자: 경증-중등도 신장질환을 동반한 파브리병 환자(82명)
ㆍ혈청 크레아틴 농도 ≥1.2 mg/dl, <3.0 mg/dl
ㆍ혈장 내 α-Gal A 활성도 <1.5 nmol/h/ml 또는 백혈구 단백질 기준 a-Gal A 활성도 <4 nmol/h/mg
효소대체요법
ㆍAgalsidase beta 1 mg/kg 또는 위약 투여(2주마다 1회) 중 무작위 배정
평가변수
ㆍWML 부담이 증가한 환자 비율(Agalsidase beta 그룹 vs 위약 그룹)
WML 지표 측정
ㆍBaseline(등록 후 28일 이내), 이후 3개월마다, 참여 종료 후 28일 이내 MRI 영상검사로 측정
ㆍWML을 FLAIR 및 T2-weighted MRI 영상에서 뇌실 주변과 심부 백질에 나타나는 고신호 이상으로 정의
좌심실 후벽 두께 측정(LVPW)
ㆍ좌심실 후벽의 이완기말 두께 측정
뇌경색 확인 및 분류
ㆍ뇌경색 여부 확인 후, 뇌경색이 나타난 혈관의 위치와 유형 분류
Results
Baseline 환자 특성
ㆍ41명의 MRI 영상이 분석되었습니다(Agalsidase beta 그룹 25명; 위약 그룹 16명).
ㆍ두 그룹의 평균 연령은 43.9±9.7세였으며, 여성 환자는 3명 포함되었습니다.
ㆍ두 그룹은 연령, WML 부담, 치료 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ㆍ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27개월(12-33 개월)이었습니다.
WML 부담
ㆍWML 부담은 두 그룹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ㆍWML 부담이 안정되거나 감소한 환자 비율은 위약 대비 Agalsidase beta 투여 시 유의하게 더 높았습니다(44% vs 31%; p=0.014).
ㆍWML 부담은 연령과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Baseline: r = 0.524; p <0.0005).
ㆍWML 부담은 LVPW 두께와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Baseline: r = 0.527; p <0.0005/follow-up: r = 0.526; p <0.0005).
연령에 따른 WML 부담
ㆍ추적관찰 시점에 50세를 넘는 환자들은 50세 이하 환자들에 비해 WML 부담이 유의하게 더 컸습니다(9.0±7.1 vs 3.1±4.0; MWU: p=0.03).
ㆍ50세 이하의 하위군 분석에서, Agalsidase beta 그룹(18명)의 WML 부담은 치료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p=0.528), 위약 그룹(13명)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p=0.026).
ㆍ50세 이하의 하위군에서도 LVPW 두께와 WML 부담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습니다(Baseline: r = 0.611; p <0.0005/follow-up: r = 0.593; p=0.001).
뇌졸중 발생
ㆍBaseline MRI 영상검사에서 뇌경색 징후를 보인 환자 비율은 Agalsidase beta 그룹에서 20% (5/25명), 위약 그룹에서 19% (3/16명)였습니다.
ㆍ그중 추적관찰 MRI 영상검사에서 실제 뇌경색으로 발전한 환자 비율은 Agalsidase beta 그룹에서 4% (1/25명)인 반면, 위약 그룹에서는 13% (2/16명)였습니다.
Conclusions
Agalsidase beta 그룹은 위약 그룹 대비 WML 부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감소했으며, 50세 이하 하위군 분석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Agalsidase beta 그룹은 위약 그룹 대비 뇌졸중으로 발전한 환자 비율이 더 낮았습니다.
FD, fabry disease; LVPW,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MWU, Mann-Whitney U tests; WML, white matter lesion
Fellgiebel A, et al. Enzyme replacement therapy stabilized white matter lesion progression in Fabry disease. Cerebrovasc Dis. 2014;38(6):448-56.
연쇄 선별검사 경험: 2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가족 가계도 분석
Experience with cascade screening: A comprehensive family pedigree analysis of two index patients with Fabry disease Kisa PT, et al. Am J Med Genet A. 2024;194(7):e63552.
후기 발병형 폼페병 환자의 평가측정도구 개발 : Modified Rasch-Built Pompe-Specific Activity scale
Improving outcome measures in late onset Pompe disease: Modified Rasch-Built Pompe-Specific Activity scale van Kooten HA, et al. Eur J Neurol. 2024:e16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