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고령의 Stage II/III 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의 유효성

The efficacy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older adults with stage II/III gastric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Shih YH, et al. BMC Cancer. 2023 Aug 18;23(1):770.

Key point

  • 70세 이상의 stage II/III 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은 생존율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Introduction

  • 실제 임상 환경에서 70세 이상의 stage II/III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의 유효성을 분석했습니다.

Methods

  • 연구 설계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대만의 Taichung Veterans General Hospital에 등록된 의료기록 이용
  • 연구 대상 : stage II/III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N=404)
     → 70세 이상 환자 : 179명
     → 70세 이상 환자 중 수술 후 최소 8주 이상의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환자(Adjuvant군) : 109명(60.9%)
     → 70세 이상 환자 중 수술 후 8주 미만의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환자(No Adjuvant군) : 70명(39.1%)
  • 보조화학요법
     → S-1, capecitabine, 5-fluorouracil 단독요법 또는 다른 약제(cisplatin, oxaliplatin, taxane)와 병용요법
  • 평가변수
     → 무질병 생존기간(DFS)
     → 전체 생존기간(OS)

Results

  • 고령의 위암 환자 중 Adjuvant군은 No Adjuvant군보다 DFS와 OS의 개선과 연관이 있었습니다.
  •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 중 Adjuvant군(53.1%)은 No Adjuvant군(30.4 %)보다 DFS rate(5년째)가 유의하게 높았습니다(P<0.001)(그림 1).
  •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 중 Adjuvant군(68.7%)은 No Adjuvant군(52.1 %)보다 OS rate(5년째)가 유의하게 높았습니다(P=0.002)(그림 2).
  • 다변량 분석에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은 사망 위험 감소와 독립적으로 연관이 있었으며(HR, 0.37; 95% CI, 0.20–0.68; P=0.002), 병기는 진행될수록 OS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stage III HR, 3.96; 95% CI, 2.03–7.73; P<0.001)

Conclusion

  • 위 절제술을 받은 70세 이상의 stage II/III 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은 생존율을 개선했습니다.

CI, confidence intervals; DFS, disease free survival; HR, hazard ratio; OS, overall survival

Shih YH, et al. The efficacy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older adults with stage II/III gastric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MC Cancer . 2023 Aug 18;23(1):770.

관련 기사
MAT-KR-2401964-1.0-09/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