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lsidase alfa versus agalsidase beta for the treatment of Fabry disease: an international cohort study
Arends M, et al. J Med Genet. 2018 May;55(5):351-358.
아갈시다제 베타는 아갈시다제 알파 대비 clinical events 발생률에 차이가 없었으며, 고용량에서 파브리병 환자의 biochemical response (LVMI 감소 비율, LysoGb3 감소)를 더 유의하게 개선한 효소 대체요법입니다.
Introduction
파브리병 환자의 효소 대체요법인 아갈시다제 알파(agalasidase alfa, 이하 alfa)와 아갈시다제 베타(agalasidase beta, 이하 beta)의 임상적 및 생화학적 결과를 비교했습니다.
Methods
연구방법: 다기관 코호트 연구(후향적 및 전향적 데이터 통합)
ㆍ후향적 데이터: 유럽 내 파브리병 전문 센터 3곳(네덜란드, 영국, 독일)에 등록된 이전 데이터 분석
ㆍ전향적 데이터: 캐나다 파브리병 연구(CFDI)에 새롭게 등록된 환자의 8년간의 데이터 분석
대상: 파브리병 진단 환자 387명 (192명 여성)
ㆍ파브리병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 Alfa (0.2 mg/kg) 또는 beta (1.0 mg/kg)를 2주 간격으로 최소 9개월 동안 투여한 환자
평가변수 1) 임상적 변수
ㆍRenal events: 만성 신부전(CKD) 5기, 신장 이식, 투석
ㆍCardiac events: 삽입형 제세동기(ICD) 또는 박동조율기(PM) 삽입
ㆍCerebral events: 뇌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TIA)
ㆍDeath: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2)생화학적 변수*
ㆍRenal function: eGFR, 단백뇨, 알부민뇨
ㆍCardiac involvement: 좌심실 질량 지수(LVMI)
ㆍPlasma LysoGb3 수치
ㆍAntibodies: 남성 환자에서만 측정 *No LysoGb3 and antibod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CFDI
Results
Patient characteristics
ㆍ베이스라인 시점에 beta 군은 alfa 군보다 lysoGb3 수치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eGFR 수치는 더 낮았습니다.
Clinical events
ㆍClinical events는 전체 대상자의 27% (103/387), alfa군의 26% (65/248), beta군의 27% (38/139)에서 발생했으며 비슷한 발생률을 보였습니다.
Renal function: eGFR을 분석한 성인 환자 337명
ㆍ베이스라인 시점 대비 eGFR 변화율은 alfa군과 beta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Cardiac involvement: LVMI를 분석한 성인 환자 278명
ㆍ베이스라인 시점에 LVH가 있었던 환자(n=168)는 치료 1년 후 LVMI가 감소했습니다.
ㆍBeta군은 alfa군보다 치료 1년 후 LVMI가 3.31 g/m2.7 더 많이 감소했습니다(βalfa-beta: −3.31 g/m2.7, 95% CI −6.84 to 0.23, P=0.07).
ㆍBeta군은 alfa군 대비 치료 1년 후 LVMI가 감소한 환자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습니다(79% vs. 62%, OR 2.27, 95% CI, 1.11 to 4.86, P=0.03, adjusted for baseline LVMI).
LysoGb3: LysoGb3 수치를 분석한 환자 153명
ㆍ전형적 파브리병 남성 환자에서, beta군은 alfa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습니다(βalfa-beta: −18.06 nmol/L, 95% CI −25.81 to −10.03, P<0.001). (그림1)
ㆍ여성 환자와 비전형적 파브리병 남성 환자에서도 beta군은 alfa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습니다(βalfa-beta: −1.07 nmol/L, 95% CI −2.04 to −0.11, P=0.03).
Antibodies: 항체를 분석한 남성 환자 124명
ㆍ전형적 파브리병 환자(n=81)에서, beta군은 alfa군보다 더 높은 지속적 항체 형성 비율을 보였으며(52%, 22/42 vs. 28%, 11/39), alfa군보다 지속적 항체 형성 비율이 높았습니다(OR 2.8, 95% CI 1.02 to 7.88, P=0.041).
ㆍ전형적 파브리병 남성 환자를 항체 형성 여부에 따라 비교했을 때, agalsidase alfa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LysoGb3 감소는 항체가 양성일 때 덜 두드러졌지만(βAB+ vs AB−: 34.77 nmol/L, 95% CI 23.65 to 45.88, P<0.001), agalsidase beta를 투여받은 환자에서 LysoGb3 감소는 항체 여부에 관계없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βAB+ vs AB−: 6.72 nmol/L, 95% CI −1.43 to 14.87, P=0.10).
Conclusions
아갈시다제 베타는 아갈시다제 알파 대비 clinical events 발생률에 차이 없이 파브리병 환자의 LVMI 감소 비율 및 LysoGb3 감소에 더 유의한 결과를 보인 치료제이며, 더 높은 항체 형성 비율에도 5배 많은 고용량으로 인해 LysoGb3 감소 효과가 저해되지 않은 효소 대체요법입니다.
Arends M, et al. Agalsidase alfa versus agalsidase beta for the treatment of Fabry disease: an international cohort study. J Med Genet. 2018 May;55(5):351-358.
연쇄 선별검사 경험: 2명의 지표(index) 파브리병 환자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가족 가계도 분석
Experience with cascade screening: A comprehensive family pedigree analysis of two index patients with Fabry disease Kisa PT, et al. Am J Med Genet A. 2024;194(7):e63552.